top of page
작성자 사진세한철강

문래동 예술촌 - 세한철강

젊은 예술가들이 모이면서 예술촌으로 거듭나고 있는 문래동 철강단지의 관한 다큐입니다.


쇳소리로 시작하는 하루, 철공소 장인들의 분주한 손길.

‘대한민국의 철재는 문래동을 통한다’고 할 만큼 70~80년대 우리나라를 대표한 철공단지.

빼곡히 늘어선 낮은 지붕들 너머로 고층빌딩들이 마치 병풍처럼 에워싼 문래동 1~4가 일대 이곳은 문래동 철공소.

문래동의 특별한 풍경인 이 단층 건물들은 일제강점기 때 지어진 건물들입니다.

1940년대 일본이 문래동을 개발하면서 건설한 영단주택 (일제강점기 때 조선주택영단을 통해 건설된 주택형태.

서울 영등포지구(현 문래동)와 상도지구(현 상도동) 영단주택의 경우, 단지형태로 건설됨)으로, 현재 그 일부가 철공소로 개조돼 사용되고 있다.

또 1980년대에는 철공소 근로자들의 숙소가 모자라 영단주택을 사택으로 이용했을 만큼, 당시 문래동 철공단지의 규모는 엄청났습니다.

문래동이 마을로 형성된 것은 일제강점기.

당시 방직공장이 들어서면서 일본인들은 이곳을 ‘실 뽑는 마을’이란 뜻의 사옥동이라 불렀습니다.

해방 이후 한국인들이 문익점의 목화 전래지라는 뜻을 담아 ‘문래동’이라는 지명으로 바꿨다고 합니다.

2000년 이후 홍대와 신촌의 높은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한 젊은 예술가들이 문래동으로 옮겨오면서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문래동의 두 주인공이 된 철공소와 예술촌.

아직 완벽한 어울림을 아니지만, 둘은 공존의 해법을 찾아나가는 중이며 이렇게 문래동의 변신은 오늘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2000년 이후 홍대와 신촌의 높은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한 젊은 예술가들이 문래동으로 옮겨오면서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문래동의 두 주인공이 된 철공소와 예술촌.

아직 완벽한 어울림을 아니지만, 둘은 공존의 해법을 찾아나가는 중이며 이렇게 문래동의 변신은 오늘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Comments


bottom of page